개인 공부(건운사)/기능해부학

1. 운동역학 의 개요.

이호니 2022. 2. 1. 20:09

운동역학 목적과 필요성 ☆

1) 목적

1. 스포츠 영역에서 운동선수 경기력 향상 및 기술 발전 시키기 위해.

2. 스포츠 상해를 최소화 하는 것

3. 혁신적인 운동 장비를 통해 경기력을 향상 시키는 것.

2)필요성.

운동역학은 인체 움직임 원리를 이해시키고 설명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이를 통해 운동의 효과성과 효율성 높임.

운동역학의 지식과 원리는 경기력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는데 필요.


신체운동 용어 분류

1) 정역학(statics) :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힘을 연구하는 분야

2) 동역학(dynamics) : 신체가 가속되는 상태에서 힘이 발생하는 것을 연구하는 분야

    (1)운동학(kinematics): 힘과 모멘트 고려 x , 힘과 모멘트로 발생한 운동의 효과적, 시간적으로 연구하는 분야

        ex ) 선운동학 : 위치, 속도, 가속도 / 각운동학 : 위치, 속도, 가속도

    (2)운동역학(kinetics) : 운동을 일으키는 힘 자체를 연구하는 분야.

        ex ) 선운동역학 : 힘 / 각운동역학 : 모멘트


운동(motion)의 정의 : 어떤 물체나 신체의 위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것.

                             힘(force) 이 운동을 일으키는 원인.

운동의 원인 : 1.힘 : 어떤 물체나 신체에 대하여 병진운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벡터(vector)로 표현함.

                          힘의 3요소 : 힘의 크기 , 힘의 방향 , 힘의 작용점.

                  2.모멘트 / 토크 : 어떤 물체나 신체에 하나의 힘이 작용하여 물체나 신체 내부의 한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회전 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역학량,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힘.


병진운동 : 직선운동( 신체 내의 모든 점의 위치가 상하 or 좌우로 똑같이 일어나는 운동)

              곡선운동( 신체의 움직이 좌우, 상하의 병진운동이 합쳐진 운동)

회전운동 : 신체가 한 점이나 한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

복합운동 :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이 결합된 복합적 운동.( 보행 ) 


 

'개인 공부(건운사) >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운동학의 스포츠 적용  (0) 2022.02.01
2. 인체역학 기초.  (0)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