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과 무게
1)질량(mass) - 어떤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역학량, 단위: kg , 특징: 물질이 존재하는 장소에 상관없이 일정.
2)무게(weight) - 지구가 물체에 가하는 중력의 크기, 단위: kg,g,N,lb,다인(dyne)
특징: 질량을 가지는 두 개의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써 두 물체 사이에 다른 무언가 있어도 안변 함.
인체의 무게중심 : 운동의 특성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며, 안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무게가 더해진 방향으로 무게중 심이 향함, 보통 인체의 무게중심은 배꼽 근처
인체의 평형 : 자세( 신체 분절의 정렬) , 균형,평형 : 무게중심을 유지하려는 자세조절.
인체의 안정성과 넘어짐
1) 기저면 - 기저면이 넓을수록 물체의 안정성이 높다 : 물체의 무게중심선이 기저면 내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음.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무게중심선의 거리가 기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가까울수록 안정성 떨어짐.
2) 지지 기저면적과 무게중심의 상관관계
(1) 지지 기저 면적이 낮으면 무게중심이 올라감 - 불안정, 운동성
(2) 지지 기저 면적이 높으면 무게중심이 낮아짐 - 안정.
ex) 까치발 vs 네발기기 자세
(3)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 - 지지 기저면의 상태,면적 변화.
무게중심의 높이
1) 물체의 안정성은 물체의 무게중심 높이와 반비례
2) 물체의 무게중심이 높으면 몸의 기울기에 따라 무게중심선이 기저면을 벗어남- 안정성 떨어짐
3. 같은 외력이 작용할 때 물체의 무게중심이 높게 위치할수록 물체에 작용하는 토크의 크기 증가.
안정성을 위한 전략
1)안정성을 높이는 전략
(1)기저면을 크게 하여 무게중심선이 기저면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
(2)기저면을 크게 하고 무게중심선 높이 낮게 하여 무게중심선을 외부 힘의 작용점으로 동시
(3)무게중심선이 기저면을 벗어나 불안해지려하면 새로운 기저면을 형성함.
2)안정성을 낮추는 전략(운동성)
(1)기저면을 좁히고 무게중심선을 기저면 바깥쪽에 위치 시킴.
(2)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무게중심선을 위치시킴.

'개인 공부(건운사) >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운동학의 스포츠 적용 (0) | 2022.02.01 |
---|---|
1. 운동역학 의 개요. (0) | 2022.02.01 |